 |
|
     |
|
 |
|
 |
탁월한 집/배수능력 |
집수면이 골 모양으로 집수가 용이하고 토사의 유입이나 토사에 의한 막힘이 없으며 내면이 평활하여 타종관에 |
비해 배수능력이 우수하다. |
 |
우수한 시공성
|
고밀도 폴리에틸렌(HDPE)을 사용함으로 콘크리트관, 토관등에 비해 가벼워 취급, 운반,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비를 |
절감할 수 있다. |
 |
우수한 외압강도 |
기존 배관재에 비해 국내 유일의 O링형 이중벽관으로 풀림현상이 없고 토압, 윤압 등 외압에 강하다. |
 |
반영구적인 수명 |
강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, 산, 알칼리 및 각종 오폐수에 전혀 부식이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이다. |
|
|
|
구 분 |
D |
D100 |
107 ± 2 |
D150 |
154 ± 2 |
D200 |
203 ± 3 |
D250 |
250 ± 3 |
D300 |
304 ± 4 |
|
|
|
보통의 지반 또는 잘 다져진 땅을 굴토할 경우 굴토폭은 배관작업에 |
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급적 굴토폭을 적게하는것이 좋다. |
토공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굴토벽면을 가능한 수직으로 |
하는것이 좋다. |
절토 비탈면 아래에 배수구를 굴착할 때는 비탈끝에서 |
적당한 간격을 두고 굴착하는 것이 좋다. |
|
|
 |
|
|
|
지반이 연약하거나 불안정할때에 두께로 부설 정형하여 |
매설한 관이 부동침하하지 않도록 처리한다. |
매설전에 토사가 유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투수성 및 통 |
기성이 좋은 고분자 섬유나 GLASS FEBER로 관의 외부 |
를 감싸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 |
매설 후 배수능력을 확보하고 관의 파손을 방치하기 위해서 |
사질토를 채우는 것이 좋다. |
보통지반의 경우 기초공사 없이도 가능하나 가급적 양호 |
한 필터재(자갈, 쇄석, 옥석)등을 사용 최소 기초를 하는 |
것이 바람직하다. |
|
|
 |
|
|
|
배수능력을 높이고 토사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배는 가급적 급하게 하는것이 좋으나 보통1/300~1/800로 |
하는것이 적당하다. |
|
|
|
유공관 접속은 소켓 및 고무링을 이용하여 간단히 접속한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