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공사중 지하수가 많은 경우는 하류에서 상류로 굴진합니다. |
| 굴토후 배관바닥은 배관구배와 동일하도록 굴토 및 정리되어야 한다. |
| 배관바닥의 기초를 위하여 물이 발생할 경우 배수관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|
| 배수로가 필요할 경우에는 굴토폭을 넓혀줄 필요가 있다. |
 |
매설 |
| 고압 JCP-HP 유공관 A형, B형 및 C형의 경우 개공이 없는 배수구가 |
| 있으므로 관을 배치할 때 배수구의 중앙이 제일 하부가 되도록 배관하는 |
것이 일반적이다. 매설은 동결심도 이상으로 하되 1~1.5m가
|
| 일반적입니다. |
| 토사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고, 투수성이 불량한 지역의 시공 또는 |
|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직포 고압 HDPE 유공관을 사용하거나 |
| 양질의 부직포를 상반부 1/2를 덮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, 그 위에 굵은 |
| 모래나 잔자갈 등으로 충진 시킨다. |
 |
구배 |
| 배수 능력을 높이고 토사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배는 가급적 급하게 |
| 하는 것이 좋으나 보통1/300~1/800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. |
 |
접속 |
| 고압 JCP-HP유공관의 접속은 소케트 및 연결관을 이용하여 간단히 |
| 접속된다. |
|
|
 |
|
| 규 격 |
배관공(인) |
특별인(인) |
| 150 |
0.017 |
0.017 |
| 200 |
0.022 |
0.022 |
| 250 |
0.028 |
0.028 |
| 300 |
0.040 |
0.040 |
| 400 |
0.067 |
0.067 |
|
|